본문 바로가기
기술사 이야기/공부이야기

화공안전기술사 공부방법_도움이 되는 유튜브 강의 소개

by 안행어사 2022. 4. 21.


안녕하세요? 글쓰는 기술사 안행어사입니다.

오늘은 화공안전기술사 공부 시 도움이 될 만한 유튜브 채널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 참고로 공부방법은 수험자마다 다르시겠지만, 제가 소개해드리는 유튜브 채널은
기본수험서를 이미 정독하고 서브노트를 어느정도 완성한 예비기술사님들에게 추천드리는 바입니다.

처음 공부 시작할 때 보통 수험서 1~2권, kosha guide, 서브노트 등을 사용해서 공부하시리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누구나 하고 있는 공부 방법입니다. 제 글을 읽다 보시면 기술사 답안의 핵심은 남들과 차별화할 수 있는 자신만의 답안입니다. 자신이 현재 업무 중인 분야에서 문제가 운 좋게 나와서 경험을 답안에 투영시키면 아주 차별화된 풍부한 답안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수험자들에 맞추어 문제가 나오지는 않겠죠?
이런 경우에는 학습을 통해 채울 수 밖에 없습니다. 모든 분야를 다 알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현실적으로는 수험서 1권을 완벽하게 보는 것도 힘듭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첫 시험을 볼 때 4개월 정도 수험서 및 서브노트 위주로만 공부했었고, kosha guide(연말에 개정되다보니 연초에 있는 기술사 시험전에는 정독하기 힘듬) 및 법은 보지는 못했습니다.

저는 첫 시험 이후에 공부할 때 이론을 이해하고자 유튜브를 참조를 많이 했었는데요.
19~21년도에 많이 나오던 문제는 부식관련된 문제, 안전밸브 관련된 문제, flare stack 관련된 문제였습니다. 사실 화학공학을 전공하고 화공안전기술사에 도전하는 수험자는 재료공학, 특히 부식부분이 힘들 수 있습니다. 저 역시도 블로그 등으로 많은 자료를 찾아보고 이해하려고 노력을 많이 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이제부터 유튜브 채널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도움이 되는 유튜브 강의소개>

1. 석유화학공장 부식관련(설비안전도우미)

- 석유화학공장의 부식관련된 블로그를 찾아보면, 내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고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저는 수소손상을 검색하다가 우연히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김병무 교수님의 설비안전도우미” 채널을 발견하게 되었고, 현장에서 오랜 경험을 갖고 있는 교수님의 강의를 알게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당연히 모릅니다.
여기서 체계적으로 Cl SCC를 비롯하여 Hydrogen embrittlement(수소취성), Hydrogen blistering(수소 부풀림), Hydrogen induced cracking(HIC), Stress oriented hydrogen induced cracking(SOHIC), High temperature hydrogen attack(HTHA), 듀틀렉스강 손상기구, Creep 손상, Fatigue(피로) 파괴 등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 강의 자체는 엄청 많이 있습니다만 강의마다 전 시간에 강의했던 내용들도 언급을 자주 해주셔서 손상기구에 대한 스토리텔링이 잘 되었던 것 같습니다. 또한, 저는 강의를 들을 때 오히려 이 분야에 대해서 흥미가 생길정도였으니까요. 제가 초반에 강의를 들을 때에는 광고가 안 붙었던 것 같은데 현재는 광고가 붙어있네요. 이 강의로 공부하시는 분들이 많나봅니다.

- 어쨋든 공부할 시간이 충분할 경우에 추천드립니다. 남들과 차별화 될 수 있는 무기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2. 재료공학관련(박정현-금속재료기술사)

- SCC를 찾아보다가 우연히 접하게 된 “박정현 금속재료기술사”님의 채널입니다. 화학공학을 전공한 입장에서는 재료 FCC, BCC, 탄소강, 스테인리스 등 재료 관련부분은 취약합니다. 처음에는 화공안전기술사 관련된 부분만 동영상 시청하다가 재료의 원척적인 부분이 궁금해서 아주 기초적인 재료에 대한 부분을 한 25 정도 보았던 것 같습니다. 강의 자체는 대부분 10분 미만이어서 배속을 걸어놓고 강의를 들으면 시간이 오래걸리지 않고 아주 우용했습니다.

- 재료에 대한 기초 이론을 재미있고, 쉽게 강의를 하다보니 강의에 빠져든다라고 할까요?? 아무튼 좋은 강의입니다.

- 여기서 김병무 교수님이 강의하는 SCC, 수소손상과 박정현 기술사님이 설명하는 SCC, 수소손상 등은 재료공학과 기계공학(현장경험)적인 관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음도 알게 되었습니다.

3. 안전밸브관련(Nick's Engineering)

- 다음에서 안전밸브 검색하다보면 유튜브에 업로드된 강의는 Nick’s Engineering 채널이 가장 먼저 검색이 될 것입니다.

- 저는 안전밸브에 대해서 원초적인 부분을 알고 싶었었는데 Nick 님의 API 520과 현장 실무경험을 통한 강의는 매력적이었습니다. 안전보건규칙에서 안전밸브 정도 외우는 것은 기술사 시험을 보려면 기본적으로 해야하는 것이구요, Nick 님의 강의로 완성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일부 강의는 구독료를 내야하지만, 무료강의로도 정말 충분합니다. 저의 업무와도 관계가 있기 때문에 추후에 구독료를 내고 강의를 차근차근 다시 들어볼 생각입니다.

4. 설비 관련(플랜트 김소장)

- 제가 하는 업무에 관한 궁금한 것을 검색했을 때 플랜트 김소장 유튜브를 자주 봤었습니다. 5분의 시간동안 핵심적인 부분만 설명해 주시기 때문에 정말 깨알같은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 저는 이 채널에서 업무적인 부분과 기술사 시험을 동시에 업그레이드 시켰습니다.


<마치며..>

화공안전기술사 시험을 4회 응시하면서 부족한 부분은 계속 채우고자 노력했습니다. 잘모르는 분야(약점)라고 해서 포기하지 않았고, 오히려 저 위의 유튜브 강의를 통해서 기술사 시험에 있어서 저만의 강점을 만들고자 노력했습니다. 업무에도 도움이 되었고, 기술사 공부에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단, 공부할 시간이 부족하시면 수험서 1권과 서브노트 우선 격파한 뒤에 유튜브를 참조해주시면 좋겠네요~

이만 마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