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글쓰는 기술사 안행어사입니다.
2020년 1차 시험인 120회 화공안전기술사 필기시험에서 고득점 했던 문제에 대하여
제가 서술했던 실제 답안을 공유해드리고자합니다.
2년 전 문제이기 때문에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시험지에 쓰여져 있는 키워드를 토대로 실제 답안과 거의 유사하게 작성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제 답안이 모범 답안은 아님을 알려드리며, 추가 내용들은 책이나 다른 블로그를 반드시 참조해 주십시요.
이 문제의 답을 2페이지 정도만 작성했던 것 같은데 엄청난 고득점이 나왔습니다. 저도 사실 이해할 수는 없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삼각선도를 그리며 화재폭발의 3요소를 적절히 언급해 준 것이 다른 분들과 차별화 된 것이 아니었나 생각했구요. 이 고득점을 계기로 전 화재폭발, 산업재해조사 관련된 문제에서 종종 삼각도표를 활용하여 답안을 기술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느낌_이전 포스팅> 2022.05.08 - [기술사 이야기/기술사 칼럼] - 화공안전기술사 서술형 문제에서 만점이 가능할까? 가능하다 |
참고로 이 문제 이외에도 고득점 했었던 답안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시면 됩니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은 해당조항 자체도 정확히 알아야 하고, 문구에 대한 이해 및 해석이 필요합니다. 조항 그대로를 25점짜리 문제의 답안으로 쓴다면, 답안 분량이 턱없이 부족하겠죠. 이 해석은 보통 kosha guide에서 많이 풀고 있습니다만, 광범위한 kosha guide를 모두 읽을 수 없을뿐더러, 이 문제의 경우는 kosha guide 상에 해석이 없는 것 같습니다. 적절히 창의적으로 답안을 작성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4교시 0번, 73점] 정유사나 저유소 출하장에서는 휘발유가 남아 있는 탱크로리, 드럼 등에 등유나 경유를 주입하지 못하도록 통제하고 있다.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답)
Ⅰ. 서론
1. 휘발유가 남아 있는 탱크로리, 드럼 등에 등유나 경유를 주입하는 경우 정전기 등 점화원으로 인하여 화재폭발이 발생할 수 있음.
2. 화재폭발 예방을 위하여 작업 시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하여야 함. (생각이 안나네요. 전 보통 서론에 2개 정도 기술합니다.)
Ⅱ. 화재폭발 메커니즘
1. 가연물
① 휘발유는 증기압이 매우 높은 인화성액체로 탱크로리, 드럼 내부에서는 유증기 연소범위가 연소상한계 이상으로 존재함
- 휘발유(가솔린) 연소범위 : LEL 1.4%~ UEL 6.2% (시험당시에는 연소범위는 작성하지 않음. 구글 검색해서 작성)
② 경유 등 주입 시 경유가 휘발유의 유증기를 흡수함
- 휘발유(가솔린) 유증기는 점점 줄어들게 되고, 경유 주입시 같이 빨려 들어온 공기와 혼합하여 휘발유 연소범위가 연소상한계 이상에서 LEL~UEL 사이의 범위로 들어올 수 있음
※ 제가 강의들었던 당시에는 경유가 휘발유의 유증기를 흡수한다라고 배웠는데 인터넷에서는 관련 내용을 찾지는 못했습니다. 흡수 하지 않을지라도 (경유+공기)가 휘발유의 유증기를 밖으로 밀어낼 것 같긴 합니다.
2. 산소(공기)
① 휘발유 등이 들어있는 드럼 등에는 유증기가 가득한 상태임
② 경유 등 주입시 호스와 드럼 hole 사이로 공기가 같이 빨려 들어감
③ 휘발유와 공기가 혼합되며 휘발유의 연소범위(LEL~UEL) 내로 진입함으로써 화재폭발 조건 형성
3. 점화원
① 정전기 등 미지의 점화원으로부터 화재폭발 가능
Ⅲ. 가솔린 증기의 삼각선도(삼각도표)
※ 이렇게 그리는것이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답안 작성 당시에 이런형태로 그렸습니다.
연소범위(노란색) 그림의 범위 역시도 대략적으로 그렸습니다.(정확한 수치는 모르기 때문에..)
Ⅳ. 방지대책
1. 휘발유(가솔린) 드럼 등에 경유를 주입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그 내부를 불활성 가스로 바꿈
2. 휘발유(가솔린) 드럼 등과 주입설비 사이에 접지 또는 본딩 등 실시
3. 액면이 주입관 선단의 높이를 넘을 때까지 주입속도를 1m/s 이하로 제한
제 답안을 대략적으로 작성해보았는데요, 관계자의 의견은 마지막에 기술하지 않은 것으로 기억합니다.
다른 책에서 이 문제를 어떻게 해설하고 있는지 확인해 본적은 없습니다. 인터넷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서 해설을 못봤던 것 같네요..
73점이 아직도 과하다고 생각하지만, 안전보건규칙 제228조 이외에도 연소메커니즘이나 삼각선도(삼각도표)를 언급했던 것이 다른수험자와는 차별화된 것이 아니었나 생각해봅니다.
예비기술사님들의 서브노트와 비교해서 답안을 완성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술사 이야기 > 공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지도사 2차시험 화공안전공학 후기 (0) | 2022.07.01 |
---|---|
화공안전기술사 서브노트 작성하기 (1) | 2022.05.18 |
[화공안전기술사, 산업안전지도사]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업무 등 암기 tip (2) | 2022.05.13 |
화공안전기술사 공부방법_도움이 되는 유튜브 강의 소개 (0) | 2022.04.21 |
[화공안전기술사 고득점 기출문제 풀이, 65점] 126회 화공안전기술사 필기 3교시 3번(가스누출감지경보기의 설치장소 및 배치기준) (0) | 2022.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