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사 이야기/공부이야기

[화공안전기술사 고득점 기출문제 풀이, 61점] 126회 화공안전기술사 필기 4교시 5번(분진폭발의 조건과 위험성)

by 안행어사 2022. 4. 11.


안녕하세요? 글쓰는 기술사 안행어사입니다.

오늘은 이번 126회 화공안전기술사 필기시험에서 고득점 했던 문제에 대하여
제가 서술했던 실제 답안과 제 서브노트를 공유해드리고자 합니다.
★ 시험지에 써져 있는 키워드를 토대로 해서 실제 답안과 거의 유사하게 작성하였습니다.

[4교시 5번, 61점] 분진폭발의 조건과 위험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
Ⅰ. 서론
1. 분진폭발은 ~~ 때문에 위험하다.
2. 서론은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ㅜㅜ

Ⅱ. 분진의 정의
1. kosha guide : 40mesh 이하(직경 420㎛ 미만 입자)
2. NFPA code : 20mesh 이하(직경 850㎛ 미만 입자)

Ⅲ. 분진폭발의 조건
1. 분진의 특성
⓵ 분진의 성질 : 발열량↑, 분진함유량↑, 휘발성↑ → 폭발위험↑
⓶ 분진의 조성 : NH2기 폭발위험↑ / 할로겐(Cl, Br) 폭발위험↓
⓷ 분포 : 420 ㎛ 30% 이상 존재
⓸ 농도 : 20~60g/cm3 ~ 2,000~6,000g/cm3
2. 점화원 : 마찰, 정전기, 나화 등
3. 산소 : 산소농도↑→ 폭발위험↑
4. MIE : 최소점화에너지 이상의 에너지 필요
5. 밀폐조건 : 개방계 폭발위험↓, 밀폐계 폭발위험↑

Ⅳ. 분진폭발 메커니즘
1. 흡열 : 공기중 체류 중인 가연성분진(420㎛) 이 열에너지 흡수
2. 분해 : 가연성 분진의 열분해→가연성 기체 생성
3. 혼합 : 가연성기체+공기=가연성혼합기
4. 연소 : 발화
5. 폭발 : 1차폭발 및 연쇄폭발

Ⅴ. 분진폭발의 위험성
1. 중독 :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CO발생 → 중독 위험
2. 2차폭발 : 연쇄폭발로 인해 제어가 힘듬
3. 소화 적응성 문제

Ⅵ. 현장 관계자의 의견
1. 현재 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은 가스/분진폭발위험장소 구분 시 인화성액체의 증기, 인화성가스, 인화성고체에만 적용하고 있음. 인화성고체로 분류되지 않는 물질의 분진류에 대해서는 실제로는 분진폭발에 위험하더라도 법에서 빠져나갈 여지가 있음..(이런식으로 기술함). 끝.


제 답안을 대략적으로 작성해보았습니다.
그래도 이 답안이 61점을 맞았다는 것은 채점자분들께서 제 답안을 좋게 봐 주신것 같습니다.
답안을 추가적으로 작성하실 분들은 다른 블로그에도 모범답안이 많이 있으니까 검색해보시면 됩니다.

아울러 제 서브노트에 작성했던 내용도 일부 공유드립니다.

<분진폭발 서브노트1>
<분진폭발 서브노트2>
<분진폭발 서브노트3>


다른 고득점한 문제들도 추후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