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행어사입니다.
오늘은 변경관리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합니다.
단순 kosha guide P-98-2017(변경요소관리에 관한 기술지침)에 대한 서브노트 개념의 정리를 하려는 것은 아니고,
남들과 차별화된 답안 작성을 위한 + α 정도의 내용을 다루고자하는 것입니다.
(당연히 kosha guide 는 기본적으로 알고 계신다는 전제하에서의 + α 입니다.)
변경관리 관련 문제가 나온다면 답안 마지막 서술의견에 오늘의 포스팅을 서술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Part 1] 관련 법규
1. 변경관리에 대한 내용을 산업안전보건법,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을 발췌하였습니다.
- ISO45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원문그대로를 가지고 왔습니다. KOSHA MS 와 내용이 거의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 내용 등) (시행 2022.2.18.) |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ms) 인증업무 처리규칙 8.1 운영계획 및 관리 (개정 2021.12.14.) |
ISO45001;2018 |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 내용 등) ① 영 제44조에 따라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해야 할 세부내용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2. 생략 3. 안전운전계획 가. 안전운전지침서 나. 설비점검ㆍ검사 및 보수계획, 유지계획 및 지침서 다. 안전작업허가 라. 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 마. 근로자 등 교육계획 바. 가동 전 점검지침 사. 변경요소 관리계획 아. 자체감사 및 사고조사계획 자. 그 밖에 안전운전에 필요한 사항 4. 생략 |
8.1 운영계획 및 관리 (3) 조직은 안전보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된 임시 및 영구적인 변경 실행 및 관리를 위한 절차를 수립하여야 한다. ① 다음을 포함하는 신규제품, 기존제품 및 이와 관련된 서비스 및 절차 - 작업장 위치와 주변 환경 - 작업 조직 - 작업 조건 - 장비 - 인력 수급 ② 법적 요구사항 및 그 밖의 요구사항의 변경 ③ 유해위험요인 및 안전보건 위험성에 대한 지식 또는 정보의 변경 ④ 지식과 기술의 발전 (4) 조직은 의도하지 않은 변경의 영향을 검토해야 하며 필요에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
8.1.3 Management of change The organization shall establish a process(es) for the implementation and control of planned temporary and permanent changes that impact OH&S performance including: a) new products, services and processes, or change to existing products, a) services and processes, including: — workplace locations and surroundings; — work organization; — working conditions; — equipment; — work force; b) changes to legal requirements and other requirements; c) changes in knowledge or information about hazards and OH&S risks; d) developments in knowledge and technology. The organization shall review the consequences of unintended changes, taking action to mitigate any adverse effects, as necessary. |
[Part 2] PSM 변경요소 관리계획 vs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MS, ISO45001) 변경관리
1.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제1항 사. 변경요소 관리계획
화학공장에서는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변경요소 관리계획 절차를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공장에서는 보통 설비, 운전 등의 변경에 대해서 주로 변경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kosha guide P-98-2017(변경요소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상에서도 설비변경, 운전변경 등에 대한 사항 위주로 guide 가 작성되었습니다.
2.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MS, ISO45001) 변경관리
안전보건경영시스템에서는 설비/운전 변경을 포함하여 작업조직, 작업조건, 장비, 인력수급 등 변경이 수반되는 경우에도 변경관리를 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는 조직(사업장)에서 정한 사항(작업조직, 인력수급 등) 에서 변경이 되는 경우에 변경관리절차를 마련하고 이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하라는 의미입니다.
에를들어 희망퇴직 등에 따라 고숙련 근로자들이 퇴사하게 된다면 저근속 근로자의 운전역량에 따라서도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또한, 조직규모가 축소되거나 팀이 통폐합 됨에 따른 인력 부족으로 안전운전 이슈가 제기될 수도 있습니다.
정리해보자면,
안전보건경영시스템에서의 변경관리는 안전보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에 대해 리스크를 평가하고 개선하는 것입니다. 이 때 변경관리 항목이 너무 많으면 변경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므로, 안전보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요소에 대한 항목을 한정짓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Part 3] 안전 인사이트 일부 내용 발췌 (저자:태찬호,이형섭,류정현,박진형:2020:성신미디어 출판)
1. 조직변경은 공장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조직개편이 이루어지기 전에 체계적으로 검토와 평가가 선행되어야 함. 공정안전관리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들은 조직변경 시 변경관리대상으로 포함하여 준수하도록 요구하고 있음.
2. 조직의 변경시 포함사항
- 최고경영자의 승인 요구(공장설비 및 물질의 변경승인은 해당 부서장이 승인해도 됨).
- 조직변경이 가져올 영향에 대한 분석시스템을 갖추어두어야 함.
3. 기업은 매년 정기 인사단행을 통해 조직의 구조변경, 승진, 보직해임, 퇴직 등이 이루어지며, 특히 사업장 관리감독자 교체는 안전리더십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조직변경에 따른 공정안전관리의 공백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직운영체계를 갖추어야 함.
마치며..
남들과 차별화 된 답안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현장관계자의 의견 등 +α 를 잘 작성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업무적으로 경험해보지 않았다 하더라도 마치 경험해본 적이 있는 것처럼 말이죠.
오늘의 포스팅으로 예를 들면
"현장에서는 설비, 운전 등의 변경에 대해서만 주로 변경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인력, 조직변경에 의한 변경관리도 공장운영상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를 위한 위험성평가 절차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 등도 있을 수 있겠습니다.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기술사 이야기 > 공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사 면접준비) 기술사 면접에 대한 생각 정리 (21) | 2023.05.02 |
---|---|
산업안전지도사 직무와 현실 (2) | 2023.01.05 |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계 vs 산업안전보건법 안전보건관리체제 (0) | 2023.01.03 |
[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제261조(안전밸브 등의 설치)-1st (0) | 2023.01.02 |
[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제35조(관리감독자의 유해ㆍ위험 방지 업무) (0) | 2022.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