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글쓰는 기술사 안행어사입니다.
오늘은 2가지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고자합니다.
1. 화공안전기술사 서술형 문제에서 과연 만점이 가능할까?
정답은 가!능!하!다! 입니다.
2. 화공안전기술사 서술형 문제에서 과연 0점이 가능할까?
정답은 가!능!하!다! 입니다.
서술형 문제에서는 아무리 답안 기술을 잘해도 만점인 75점중에 70점을 넘기기가 힘들다고 들었습니다. 심지어는 65점도 넘기가 힘듭니다. 기술사 시험 점수를 잘 받기 위해서는 ①답안이 정말 모범답안이거나, ②남들과 차별화 되어 있거나, ③남들이 많이 선택하지 않은 문제를 선택해서 풀었거나 ④얼마나 창의적인가..등등 이런 모든 것들이 맞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120회 화공안전기술사 실제사례>
저의 화공안전기술사 첫 번째 시험인 120회(2020년 1차) 시험은 54.58점으로 불합격하였습니다. 120회차 시험은 필기시험 합격자가 단 2명으로 합격률(1.8%)이 엄청 저조했습니다. 제 답안 중에는 제가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점수가 높은 답안이 있는 반면에 3페이지 넘게 답안을 작성한 서술형 문제에서 0점을 맞은 답안도 있습니다. 0점 답안의 점수를 본 뒤 너무 허무해서 기술사 시험을 불신(채점자 마음대로)하게 되었고 다음 시험을 안 본 계기가 되었습니다.
제 120회 화공안전기술사 점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고득점과 저득점 문항에 붉은색으로 표기하였습니다.
기술사 채점관은 3명으로 만점은 1교시는 30점(10점*3명), 2~4교시는 75점(25점*3명)입니다.
1. (고득점) 고득점 문제는 아래와 같으며 채점관 중에 1명 이상이 만점을 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① 1교시 5번문제 : 29점(채점관 2명이 10점 만점)
(문제) 스테인리스스틸의 종류 중 304와 304L, 316과 316L의 ① 차이점은 무엇이며, ② 구분 하여 제작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설명) 현재 기준 기술사 기출문제를 풀이하는 수험자님들은 모범답안을 알고계시겠지만, 이 때 당시에는 처음 출제되는 문제 유형으로 기억됩니다. 화학공학을 전공하고 기술사를 공부하고 계신분들이 가장 약한 것이 바로 재료에 대한 부분입니다. 저는 강종, 재료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은 유튜브에서 박정현 금속재료 기술사의 무료강의를 가끔 보았던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STS304L에 대하여 low carbon 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정확한 % 수치는 몰라서 답안에는 기술하지 않았었습니다. 또한 304L 강종을 입계부식과 연관지어 답을 기술하였는데, 이것이 남들과 차별화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② 4교시 3번문제 : 73점(채점관 1명이 25점 만점)
(문제) A기업은 제품생산과정에 용매로 톨루엔을 대량 사용한다. 옥외에는 톨루엔 저장탱크 6기가 설치되어 있고, 환경관련법에 따라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증기와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대기로 적절한 처리 없이 내보낼 수 없다. 소각처리를 하기 위하여 RTO나 RCO를 설치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나 중소규모의 업체에서는 쉽지 않은 방법 이다. 경제성 등을 포함하여 검토한 결과 세정기(Scrubber)를 설치하고, 톨루엔 증기를 세정기에서 흡수처리하기로 하였다. 톨루엔 증기를 세정기에서 흡수처리가 가능한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설명) 이 문제는 선택할 문제가 없어서 선택한것이었고, 여기 저기서 제가 알고 있는 지식을 망라해서 서술했습니다. 이렇게까지 점수가 잘 나올줄은 몰랐네요. 톨루엔은 물 세정 시 방향족 탄화수소계열이라 흡수가 되지 않으며, 흡수가 되더라도 수처리 문제가 생김 등으로 창의적으로 서술했었습니다.(맞는지는 지금도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이 문제를 다른분들께서는 선택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남들이 많이 선택하지 않은 문제+창의적서술)
③ 4교시 4번문제 : 73점(채점관 1명이 25점 만점)
(문제) 정유사나 저유소 출하장에서는 휘발유가 남아 있는 탱크로리, 드럼 등에 등유나 경유를 주입하지 못하도록 통제하고 있다.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설명) 이 문제는 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28조에 나와 있는 조항입니다. 어디를 찾아봐도 해설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전 예전에 안전관련 교육을 받았을 때 이 조항에 대해서 연소의 3요소를 토대로하여 배웠던 적이 있었고, 내용이 흥미로워서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이 문제의 답안이 조금 부족한것 같아서 추가적으로 무엇을 더 써야하지 계속 생각하다가 떠올랐던 것이 3성분계 상태도였는데, 삐뚤빼뚤 그려서 설명하긴 하였습니다. (저는 답을 쓸 때 모양자를 사용하지는 않기에..) 어쨌든 남들과 차별화 되었기 때문에 많은 점수를 받았다고 생각됩니다.
2. (저득점) 저득점 문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2교시 2번문제 : 0점(채점관 3명이 0점)
(문제) 2018년 경기도 고양시 소재의 고양저유소에서 발생한 휘발유저장탱크 화재사고는 풍등에 의해 점화된 잔디가 타면서 점화원이 전파되었다. 잔디에 의해 전파된 불씨는 휘발유 저장 탱크로 유입되어 탱크 2기가 폭발하였으며, 그중 1기는 장시간 화재로 이어졌다. 불씨가 저장탱크 내부로 유입된 경로와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단, 저장탱크는 API standard 650을 기준으로 설계된 IFRT임)
(설명) 이 문제는 3페이지 정도를 작성했었었는데 결국 채점관 3명이 모두 0점을 주었습니다. 이 사고에 대한 내용은 알고는 있었으나, 정확히는 알지는 못했습니다. API code 에 대한 사항도 숙지되지는 못했지만 대충 화염방지기, 인화방지망, 잔디, 소방시설문제, CCTV 등 아는 내용을 기술했던 것 같습니다.. API code 는 서술하지는 않았습니다.
엇.. 예전에 갖고 있던 시험지에 키워드 써 놓을 것을 보니... 헐.. 인화방지망이 없음.. 이렇게 써져 있네요.. 제가 말도 안되는 사항을 키워드로 적어놨었네요.. 하하하... 어쨌든 키워드 저것이 엉터리라고 하더라도 다른 내용들은 맞은 부분들도 있었는데 0점은 좀 심했던 것 같습니다. 이 문제는 너무 허탈해서 산업인력공단에 이의제기도 했었지만,, 채점관들이 채점을 한 것이 0점이 맞다.. 답안을 확인하려면 어디로 오라.. 이렇게 답변이 달렸었네요..
② 4교시 5번문제 : 2점(채점관 1명이 0점)
(문제) 다음의 간략한 도면을 대상으로 공정적인 측면의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가장 중요한 문제점을 한 가지만 발췌하여 대책을 제시하시오.
(설명) HAZOP 의 전반적인 사항을 설명하고, T, P, Q 등에 대하여 가이드 워드를 사용하여 이탈현상을 설명하였습니다. 기존에 업무적인 경험으로는 HAZOP 을 해본적은 없으나, kosha guide 상 부록에 나와있는 표까지는 외웠기 때문에 어느정도 답안을 기술할 수 있었습니다. 가장 중요한 문제점을 원심펌프 전단 밸브막힘에 의한 하부 정체현상 및 넘침.. 이런식으로 썼던것 같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2점을 받았다는 것은 흠..납득이 가지 않았습니다. 낮은 합격률 때문에 점수를 낮게 조정한 것이 아니었나? 이런생각이 들더군요.. 제 친구 중 엔지니어링 업계에서 HAZOP 실무를 직접하는 친구도 이 문제를 풀었는데 2점이 나왔네요.. 뭐 이런경우가 다 있었을까요..어쨌든 채점관이 원치는 않은 답이었나 봅니다.
서술형 문제에 대해서 만점을 맞을 수도 0점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 시험에 대한 운도 중요하다고 생각되네요..
120회 화공안전기술사 시험을 본지 상당 시일이 지났지만 나중에 저 고득점 문제에 대해서 복기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고득점 문제 복기 완료되면 댓글에 링크 남겨놓도록 하겠습니다. 나중에 댓글을 확인해주세요.)
기존 126회 화공안전기술사 고득점 문제에 대해서는 아래의 포스팅을 참조해보시면 됩니다. 이만 마치겠습니다.
2022.04.13 - [기술사 이야기/공부이야기] - [화공안전기술사 고득점 기출문제 풀이, 65점] 126회 화공안전기술사 필기 3교시 3번(가스누출감지경보기의 설치장소 및 배치기준)
[화공안전기술사 고득점 기출문제 풀이, 65점] 126회 화공안전기술사 필기 3교시 3번(가스누출감지
안녕하세요? 글쓰는 기술사 안행어사입니다. 126회 화공안전기술사 필기시험에서 고득점 했던 문제에 대하여 제가 서술했던 실제 답안을 공유해드리고자합니다. (본 문제는 서브노트는 따로 만
writer-pro-eng.tistory.com
2022.04.11 - [기술사 이야기/공부이야기] - [화공안전기술사 고득점 기출문제 풀이, 61점] 126회 화공안전기술사 필기 4교시 5번(분진폭발의 조건과 위험성)
[화공안전기술사 고득점 기출문제 풀이, 61점] 126회 화공안전기술사 필기 4교시 5번(분진폭발의
안녕하세요? 글쓰는 기술사 안행어사입니다. 오늘은 이번 126회 화공안전기술사 필기시험에서 고득점 했던 문제에 대하여 제가 서술했던 실제 답안과 제 서브노트를 공유해드리고자 합니다.
writer-pro-eng.tistory.com
'기술사 이야기 > 기술사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사 공부방법_이론의 집대성화 및 전문분야 찾기 (6) | 2022.05.20 |
---|---|
기술사 합격을 위한 공부의 방향 설정 (2) | 2022.04.08 |
기술사 시험문제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2) | 2022.04.07 |
화공안전기술사 126회(22년 1차) 필기 후기(최종) (2) | 2022.04.02 |
화공안전기술사 126회(22년 1차) 필기 후기(4교시) (1) | 2022.04.01 |
댓글